
피타고라스는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수학자입니다. 중학교 수학시간에 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라는 기하학의 법칙을 배웁니다. 빗변의 길이의 제곱은 나머지 두 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는 내용입니다. 우리는 피타고라스가 누구인지 알기 전에, 수학의 법칙으로 피타고라스를 먼저 만나게 됩니다. 하지만, 피타고라스는 수학만 하지 않았습니다. 고대의 철학자 중 한 사람이며, 특히 철학이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입니다. 또한, 스스로를 철학자라고 칭한 최초의 사람이기도 합니다. 이전 글에서는 최초의 철학자를 탈레스라고 소개해 드렸습니다만, 철학자라 칭함받은 최초의 사람은 피타고라스입니다. 아시다시피, 피타고라스는 수학에 매우 능통했습니다. 현대를 사는 우리가 그가 발견한 기하학 법칙을 공부했다는 것이 강력한 증..

미루기의 역효과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은 해야 할 일을 미루는 경험을 합니다. 어렸을 적 놀고 싶어서 방학숙제를 미루거나, 새해를 맞이해서 거창한 목표를 세워놓고 '내일 해야지, 내일 해야지' 하면서 그 날 그 날 해야 할 일을 미루기도 합니다. 분명 그것들을 하지 않으면 당장의 몸은 편할 수 있겠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미뤄왔던 일들을 언젠가 해야만 한다는 생각에 마음은 점점 무거워집니다. 저도 청소년 시절 중간고사나 기말고사를 치르기 전 시험공부를 할 때도 어찌나 공부하는 게 싫었던지, 안하던 청소를 하거나 어느샌가 게임을 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곤 했습니다. 그러면서 즐거웠던 시간이 지나고 나면, '아, 공부해야 하는데...'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해야 할 공부에 집중을 못하는 일이 한두 번이 아..
- Total
- Today
- Yesterday
- 심리학
- 건강
- 노력
- 실천
- 리얼 클래스
- 원재료
- 가치
- 공부
- 언어
- 영어공부
- 리얼클래스
- 철학자
- 중용
- 가능성
- 영양정보
- 트랜스지방
- 철학
- 지방
- 발전
- 소크라테스
- 데모크리토스
- 그리스
- 플라톤
- 현상학
- 부작용
- 영양
- 원재료명
- 스토아학파
- 타일러
- CN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